헤/어/질/결/심1. 가족교육(여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)
페이지 정보

본문
오늘 저희 센터 누리실에서 진행된
가족교육 후기~~☆☆
헤/어/질/결/심1
: 성인발달장애인 부모의 고령화와 노후준비
많은 분들이 자리를 꽉꽉 채워주셨어요.
이 교육은 서울시50+재단 주최 비대면 줌강의를 저희 센터에서 같이 듣고 정보를 나누는 시간이었어요.
50~64세 성인발달장애인 부모님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최근까지 진행되었던 공동체주택 및 마을의 성공&실패 사례가 기억에 남네요.
- 한국인 노후준비 중요 순위 1.노후자금 2.건강관리 인데 발달장애인 부모님들은 상대적으로 노후준비 자금 대해 계획이 구체적이지 않았고, 자신의 건강을 챙기기에도 그동안 여유가 없었더라구요..
- 공감가능한 한도내의 관계망 유지에도 비장애가정 평균 150명인데, 장애가정의 경우 20명정도로 약한 편..
- 자녀와 밀착되어 자아 분리가 쉽지 않은 점도 특징이었어요.
- 노후준비에 대해 비관적이고.. 죽음에 대한 불안도 노인 평균보다 높았습니다.
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...에 대해 그동안
많은 분들이 연구하고 시도해보고 추진하고 있는 사례가 지역별로 많았어요. 멋진분들 +○+
궁금하시겠지만 자세한 내용은 교육에서^^
아쉬운건 지역별 편차, 정보의 편차, 경험의 편차가 크다는 것.
우리 여주에서도 같이 모여 배우고 논의하고 경험하면서
장애인이 돌봄의 대상이 아닌
가족과 이웃과 함께 어울려살아가는 곳으로 만들어나갔으면 좋겠어요.
가족교육 후기~~☆☆
헤/어/질/결/심1
: 성인발달장애인 부모의 고령화와 노후준비
많은 분들이 자리를 꽉꽉 채워주셨어요.
이 교육은 서울시50+재단 주최 비대면 줌강의를 저희 센터에서 같이 듣고 정보를 나누는 시간이었어요.
50~64세 성인발달장애인 부모님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최근까지 진행되었던 공동체주택 및 마을의 성공&실패 사례가 기억에 남네요.
- 한국인 노후준비 중요 순위 1.노후자금 2.건강관리 인데 발달장애인 부모님들은 상대적으로 노후준비 자금 대해 계획이 구체적이지 않았고, 자신의 건강을 챙기기에도 그동안 여유가 없었더라구요..
- 공감가능한 한도내의 관계망 유지에도 비장애가정 평균 150명인데, 장애가정의 경우 20명정도로 약한 편..
- 자녀와 밀착되어 자아 분리가 쉽지 않은 점도 특징이었어요.
- 노후준비에 대해 비관적이고.. 죽음에 대한 불안도 노인 평균보다 높았습니다.
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...에 대해 그동안
많은 분들이 연구하고 시도해보고 추진하고 있는 사례가 지역별로 많았어요. 멋진분들 +○+
궁금하시겠지만 자세한 내용은 교육에서^^
아쉬운건 지역별 편차, 정보의 편차, 경험의 편차가 크다는 것.
우리 여주에서도 같이 모여 배우고 논의하고 경험하면서
장애인이 돌봄의 대상이 아닌
가족과 이웃과 함께 어울려살아가는 곳으로 만들어나갔으면 좋겠어요.
- 이전글"줍킹데이" 장애인인식개선 (여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) 22.12.07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